pISSN: 1229-537X

한독사회과학논총, Vol.34no. (2024)
pp.119~160

DOI : 10.19032/zkdgs.2024.03.34.1.119

불평등문제를 다루는 사회이론과 개별국가의 상관관계 : 루만의 체계이론과 부르디외의 장이론을 중심으로

김태근

(영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교책객원 교수)

세계화 이후 복잡하고 불확실한 현실을 담아낼 사회이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루만의 체계이론과 부르디외의 장이론은 이런 요구를 충족시켜줄 것으로 기대되면서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한국 학계도 예외가 아니다. 그들의 사회이론은 다양한 관점에서 소개되었고 한국사회를 이해하기 위하여 활용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 두 사회이론을 한국 학계가 수용할 때 분명한 한계가 있음을 주장한다. 두 학자의 출신 국가의 문화와 역사가 사회이론에 반영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본 연구는 불평등문제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관계를 밝힌다. 먼저 체계이론 구상의 초기와는 달리 후기에 배제개념 과 사회적 불평등에 시선을 돌리는 루만은 최종적인 결과를 기능체계들에게 맡김으로써 행위자의 행위를 소홀하게 다룬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그의 이론적 한계는 개인의 자유에 대해 매우 소극적으로 접근하면서 사회제도의 자율성과 사회규범을 강조했던 독일의 문화와 역사의 특징에 기인하는 것이다. 부르디외는 연구 초기부터 불평등문제와 함께 그의 장이론을 시작한다. 그는 아비투스의 개념에 기초하여 ‘구조화된 구조’의 측면에서 접근하는 특징을 보인다. 반면 후기에 부르디외는 실천에 강조점을 두면서 경쟁과 투쟁이 발생하는 장을 중심으로 사회의 변화가능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구조화하 는 구조’는 프랑스의 문화적 그리고 역사적 전통에 기초하여 분명한 특징과 한계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루만과 부르디외의 사회이론이 다른 사회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는 점에 동의하면서도 그들 출신 국가와는 다른 문화와 역사적 경로를 가진 비서구 국가들, 특히 한국에는 적용의 한계가 있음을 분명히 한다. 따라서 개별국가들에서는 루만의 체계이론과 부르디외의 장이론에 관심을 가지더라도 개별적인 문화와 역사와의 연관성 속에서 자신들을 위한 독자적인 사회이론을 찾아내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Correlation between Individual Countries and Social Theory of Social Inequality : Focusing on the Luhmann’s System Theory and Bourdieu's Field Theory

Kim, Tae Keon

Since the era of globalization,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in social theories that deal with complex and uncertain realities. Luhmann's system theory and Bourdieu's field theory are garnering attention from researchers across the world, including the Korean academia, as they are expected to meet these expectations. These two social theories have been introduc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used to understand Korean society.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the two social theories show clear limits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This paper highlights that the two scholars’ social theories reflect the cultures and ideas of their homelands and explains the reasons in detail centering on the inequality issue. First, Luhmann focused on the concepts of exclusion and social inequality in his later years, an approach different from his earlier concept of system theory. The approach received criticism that it overlooks the actions of the actors as it searches for the cause of a result in the functional system. Its theoretical limits come from the cultural and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Germany which took very passive approach to individual freedom and emphasized the autonomy of the social system. Since his early research days, Bourdieu addressed the inequality issue in his field theory. His theoretical approach centers on a structured structure, based on the habitus concept. In his later studies, however, he stressed the importance of practice and emphasized the possibility of social change focusing on fields where competition and struggle take place. The structuring structure shows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due to the cultural and intellectual traditions of France. While this paper agrees that Luhmann and Bourdieu's social theories have many implications for other societies, it also notes that Korean society has a cultural and historical path different from that of the two scholars’ societies, and thus needs a social theory of its own. Lastly, this paper positively evaluates recent studies on the history and culture of Korean society and expresses hope for more active research based on the research.

Download PDF list




(48513) 부산광역시 남구 용소로 45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관 1108호    개인정보처리방침   ㅣ   Contact Us
총무위원회 - TEL : 051) 629-5469    E-mail : kdgfs91@kakao.com    l    편집위원회 - TEL : 02) 3290-2574    E-mail : kdgs90@hanmail.net
COPYRIGHT ⓒ Koreanisch-Deutsche Gesellschaft für Sozialwissenschaften. ALL RIGHTS RESERVED.